본문 바로가기
제품 추천/소프트웨어

티스토리에서 논문을 작성!? MathJax를 이용해 복잡한 방정식을 Latex로 작성하자

by K-인사이터 2025. 2. 14.
반응형
반응형

핵심 요약

  • LaTeX(발음 레이텍)은 고품질 문서 작성을 위한 조판 시스템으로 텍스트와 그래픽을 배치하여 문서를 구성하는 체계를 의미함
  • LaTeX 문법은 이중 수식 및 도표를 삽입하기 위한 문법 체계를 의미함
  • $$ E=mc^2 $$ 와 같이 작성하면 자동으로 수식으로 변환됨. 아래와 같이 적용
  • 다양한 연산자에 대한 latex 기호 정리
  • 티스토리 스킨 편집에서 복사 및 붙여 넣기 할 수 있는 mathJax 스크립트

LaTeX(레이텍)은?

LaTeX(발음 레이텍)는 본래 고품질 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조판 시스템입니다. 여기서 조판 시스템이라고 한다면 텍스트와 그래픽을 배치하여 문서를 구성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레이텍을 이용해 수식 및 도표 삽입을 하여 수학, 과학, 공학 분야의 논문 작성에 널리 사용됩니다.

LaTeX 문법이라고 한다면 수식 및 도표 삽입을 위한 문법 체계입니다. 예를 들어 LaTeX 문법을 활용해 E=mc^2 와 같이 입력한다면 문법을 해석하여 아래와 같이 수식으로 변환됩니다.

$$ E=mc^2 $$

MathJax 란?

MathJax는 웹 브라우저에서 수식을 표현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입니다. 다양한 수식 입력 문법을 지원하며 출력 형식 또한 원하는 형식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arXiv, ScienceDirect, 위키백과 등 다양한 학술 및 교육 웹사이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어 범용성이 큽니다. 즉, 소프트웨어 개발 지원이 끊겨서 곤혹을 겪을 가능성은 매우 낮음을 의미합니다.

티스토리에 MathJax 설치 방법

티스토리는 매우 자유로운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여 많은 블로거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으며 카카오, 다음이 지원하는 거대한 플랫폼입니다.

티스토리에서는 스킨 편집 기능을 활용해 여러분이 원하는 대로 블로그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내 블로그 관리에 접근하여 "[꾸미기] > [스킨 편집]"을 클릭 합니다.

스킨 편집을 클릭하면 html 편집이 가능한데 여기서 <head> </head> 태그 내에 아래의 script 태그를 삽입하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반드시 적용 버튼을 눌러주세요.

<script type="text/javascript">
window.MathJax = {
  tex: {
    inlineMath: [['$', '$'], ['\\(', '\\)']],
    displayMath: [['$$', '$$'], ['\\[', '\\]']],
    processEscapes: true,
    tags: 'ams'
  },
  svg: {
    fontCache: 'global'
  }
};
</script>
<script src="https://cdnjs.cloudflare.com/ajax/libs/mathjax/3.2.0/es5/tex-mml-chtml.js" async></script>

 

다음으로 원하는 수식을 $$ 수식 $$ 과 같이 티스토리 본문 내에 작성해주시면됩니다. 여기서 $(달러 기호)는 수식이 들어갈 것임을 선언하는 것입니다.

MathJax 테스트

MathJax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매우 복잡한 수식을 가져와서 테스트해보겠습니다.

\begin{aligned}
H(Play)&=-\sum_{i=1}^c p_i\log_2 p_i \\\\\\
&=-(\frac{5}{14}log_2\frac{5}{14}+\frac{9}{14}log_2\frac{9}{14}) \\\\\\
&=0.94
\end{aligned}

 

 

\begin{aligned}
H(Play)&=-\sum_{i=1}^c p_i\log_2 p_i \\\\\\
&=-(\frac{5}{14}log_2\frac{5}{14}+\frac{9}{14}log_2\frac{9}{14}) \\\\\\
&=0.94
\end{aligned}

 

기호의 이름을 모를 때는 Detexify

이제 논문을 보기 시작하신 분들이라면 신기한 기호들을 많이 접하게 되면서 이 기호의 이름을 알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때, 마우스로 기호의 대략적인 형태를 그려서 어떤 기호 인지를 찾을 수 있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https://detexify.kirelabs.org/ 사이트인데요. 아래의 캡처 그림처럼 그림을 그리면 유사한 그림을 찾아주는 기능입니다.

기본적인 LaTeX 기호 총 정리!

왠만한 기호들은 모두 정리하여 표 등으로 정리해두었습니다. 혹은 어떤 기호들이 있을지 감을 잡고자 한다면 가벼운 마음으로 쭉 읽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연산자 및 관계성 기호(집합 포함)

LaTex 결과 LaTex 결과 LaTex 결과 LaTex 결과
\leq ≤≤ \geq ≥≥ < << > >>
= == \neq ≠≠ \nleq ≰≰ \ngeq ≱≱
\cong ≅≅ \equiv ≡≡ \sim ∼∼ \approx ≈≈
\doteqdot ≑≑ \times ×× + ++ - −−
\div ÷÷ \cdot ⋅⋅ \ast ∗∗ \pm ±±
\mp ∓∓ \circ ∘∘ \oplus ⊕⊕ \otimes ⊗⊗
\odot ⊙⊙ \bigcirc ◯◯ \bigoplus ⨁⨁ \bigotimes ⨂⨂
\bigodot ⨀⨀ \propto ∝∝ \cdots ⋯⋯ \dots ……
\because ∵∵ \therefore ∴∴ \forall ∀∀ \exists ∃∃
\in ∈∈ \subset ⊂⊂ \subseteq ⊆⊆ \notin ∉∉
\supset ⊃⊃ \supseteq ⊇⊇ \subsetneq ⊊⊊ \supsetneq ⊋⊋
\not\subset ⊄⊄ \not\supset ⊅⊅ \not\subseteq ⊈⊈ \not\supseteq ⊉⊉
\emptyset ∅∅ \varnothing ∅∅ \oslash ⊘⊘ \cap ∩∩
\cup ∪∪ \vert | \parallel ∥∥ \bot ⊥⊥
\top ⊤⊤ \vdots ⋮⋮ \ddots ⋱⋱ \circ ∘∘
\bullet ∙∙ \neq ≠≠ \wedge ∧∧ \vee ∨∨
\leftarrow ←← \rightarrow →→ \leftrightarrow ↔↔ \mapsto ↦↦
\Leftarrow ⇐⇐ \Rightarrow ⇒⇒ \Leftrightarrow ⇔⇔ \leftrightarrows ⇆⇆
\prod ∏∏ \sum ∑∑ \int ∫∫ \oint_{C} ∮C

글자 기호 (소문자 및 대문자)

LaTex 결과 LaTex 결과 LaTex 결과 LaTex 결과
\alpha αα \beta ββ \gamma γγ \delta δδ
\epsilon ϵϵ \zeta ζζ \eta ηη \theta θθ
\iota ιι \kappa κκ \lambda λλ \mu μμ
\nu νν \xi ξξ \omicron οο \pi ππ
\rho ρρ \sigma σσ \tau ττ \upsilon υυ
\phi ϕϕ \chi χχ \psi ψψ \omega ωω
\Gamma ΓΓ \Delta ΔΔ \Theta ΘΘ \Lambda ΛΛ
\Xi ΞΞ \Pi ΠΠ \Sigma ΣΣ \Upsilon ΥΥ
\Phi ΦΦ \Psi ΨΨ \Omega ΩΩ    

 

폰트 변경

ABCDEF
\mathcal{ABCDEF}
\mathbb{ABCDEF}
\mathbf{ABCDEF}
\mathfrak{ABCDEF}
\mathrm{ABCDEF}
\mathit{ABCDEF}
\mathsf{ABCDEF}
\mathtt{ABCDEF}

 

$$
\mathcal{ABCDEF}
$$
$$
\mathfrak{ABCDEF}
$$

괄호

소괄호

(x, y)
\left( x, y \right)
(\frac{1}{x})
\left( \frac{1}{x} \right)

$$
\left( \frac{1}{x} \right)
$$

대괄호

[x, y]
\left[ x, y \right]
[\frac{1}{x}]
\left[ \frac{1}{x} \right]

$$\left[ \frac{1}{x} \right]$$

함수

대표적인 함수

LaTex 결과 LaTex 결과 LaTex 결과 LaTex 결과
\sin sinsin \cos coscos \tan tantan \exp expexp
\arcsin arcsinarcsin \arccos arccosarccos \arctan arctanarctan \log loglog
\ln lnln \sec secsec \csc csccsc \cot cotcot
\sinh sinhsinh \cosh coshcosh \tanh tanhtanh \coth cothcoth
\sgn \sgn\sgn \min minmin \max maxmax \arg argarg
\inf infinf \sup supsup \det detdet \lim limlim
\deg degdeg \sqrt{x} √xx \sqrt[3]{x} 3√xx3 \ker ker

Latex 문법상 정의되지 않는 함수

\operatorname{Sigmoid}\, (x)

$$ \operatorname{Sigmoid}, (x) $$

특정 인자에 대한 지칭 (underset)

\hat{z} = \underset{z}{\arg\min}

$$
\hat{z} = \underset{z}{\arg\min}
$$

모자 씌우기(hat)

LaTex 결과 LaTex 결과 LaTex 결과 LaTex 결과
\dot{x} ˙xx˙ \ddot{x} ¨xx¨ \acute{x} ´xx´ \grave{x} xx
\check{x} ˇxxˇ \breve{x} ˘xx˘ \tilde{x} xx \bar{x} ¯xx¯
\hat{x} ^xx^ \widehat{x} ˆxx^ \vec{x} ⃗xx→    

분수, 행렬, 경우 나누기(case), 여러 줄 쓰기

분수

1 \over x
\frac{1}{x}

$$
1 \over x
$$

 

행렬

\begin{matrix}
    x & y \newline z & v
\end{matrix}

\begin{vmatrix}
    x & y \newline z & v
\end{vmatrix}

\begin{pmatrix}
    x & y \newline z & v
\end{pmatrix}

\begin{bmatrix}
    x & y \newline z & v
\end{bmatrix}

 

$$
\begin{bmatrix}
x & y \newline z & v
\end{bmatrix}
$$

경우 나누기

\begin{cases}
    x, & x > 0 \newline
    0, & \text{Otherwise}
\end{cases}

$$
\begin{cases}
x, & x > 0 \newline
0, & \text{Otherwise}
\end{cases}
$$

여러 줄의 방정식 쓰기

\begin{aligned}
    y =& x^2 + x + 2x + 3 -2 \newline
    =& x^2 + 3x +1
\end{aligned}

$$
\begin{aligned}
y =& x^2 + x + 2x + 3 -2 \newline
=& x^2 + 3x +1
\end{aligned}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