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은행5

24.02.08 장마감 시황 ▶ 금융 외환 시장 동향 (한국은행) 안녕하세요 K-IN 입니다. 한국은행에서 매일 오후 6시에 발간하는 일일 금융·외환시장 동향를 읽어드리는 시간입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시간을 아끼면서 투자의 기회를 잘 잡아가시길 바랍니다. ※ 붉은색은 시장 "긍정적", 파란색은 시장 "부정적"을 표기하였습니다 총평 국내장은 전일 미 증시 상승 등으로 상승 국채 금리, 연준 인사 금리인하 신중 발언으로 상승 환율, 미달러화 약세 등 하락요인과 엔화 약세 등 상승요인이 엇갈려 보합 금융 시장 동향 헤드라인 ▷ 코스피 2620.3 마감 (+10.7p, +0.4%), 코스닥 826.6 (+14.7P, +1.8%) 전일 미 증시 상승* 등의 영향으로 상승 *미국 주요 IB의 AI 수요확대 전망 및 엔비디아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여 반도체 관련 종목이 큰폭 상승 .. 2024. 2. 9.
24.02.07 장마감 시황 ▶ 금융 외환 시장 동향 (한국은행) 안녕하세요 K-IN 입니다. 한국은행에서 매일 오후 6시에 발간하는 일일 금융·외환시장 동향를 읽어드리는 시간입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시간을 아끼면서 투자의 기회를 잘 잡아가시길 바랍니다. ※ 붉은색은 시장 "긍정적", 파란색은 시장 "부정적"을 표기하였습니다 총평 국내장은 기관, 외인의 순매수로 상승 국채 금리, 미국채 금리 하락 및 연준 인사 매파적 발언으로 보합 환율, 미달러화 약세 및 기업 달러 매입으로 보합 금융 시장 동향 헤드라인 ▷ 코스피 2609.6 마감 (+33.4p, +1.3%), 코스닥 811.9 (+4.9P, +0.6%) 전일 미 증시 상승, 저평가 해소 기대감(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등으로 기관(0.6조), 외인(0.5조) 매수세 유입 ▷ 국고채(3년) 3.29% (0bp), 국고.. 2024. 2. 7.
24.02.06 장마감 시황 ▶ 금융 외환 시장 동향 (한국은행) 안녕하세요 K-IN 입니다. 한국은행에서 매일 오후 6시에 발간하는 일일 금융·외환시장 동향를 읽어드리는 시간입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시간을 아끼면서 투자의 기회를 잘 잡아가시길 바랍니다. 총평 미국채금리 급등과 아시아장 금리 하락 등으로 채권금리는 혼조 호주 중앙은행, 기업 달러 매도 등으로 환율 하락 국내장 주가는 차익실현 매물 출회 등으로 하락 금융 시장 동향 헤드라인 ※ 붉은색은 시장 "긍정적", 파란색은 시장 "부정적"을 표기하였습니다 ▷ 코스피 2576.2 마감 (-15.1p, -0.6%), 코스닥 807.0 (-1.0P, -0.1%) 2차전지 약세(독일 SA, 테슬라 전기차 구매 중단 발표, 2.5일 로이터), 차익실현 매물 출회 등으로 하락 중국 증시 부양책 기대감으로 국내장 하락폭 축소,.. 2024. 2. 6.
24.02.05 장마감 시황 ▶ 금융 외환 시장 동향 (한국은행) 안녕하세요 K-IN 입니다. 한국은행에서 매일 오후 6시에 발간하는 일일 금융·외환시장 동향를 읽어드리는 시간입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시간을 아끼면서 투자의 기회를 잘 잡아가시길 바랍니다. 총평 미 고용지표가 예상치를 상화함에 따라 달러 강세, 금리인하 기대감 약화 등으로 국내장 주가가 하락 미 전주말 장기채 국채금리 급등은 장기채가격이 하락함(TLT -2.21%)에 따라 국채금리가 상승 외인 채권 매수액중 75.8%는 통안증권을 매수, 국내장에서 안전자산 선호로 심리가 바뀜. 통안증권은 유동성 관리를 위해 한국은행이 발행하는 단기채로 안전자산에 속함 단기적으로 금리 인하가 어렵다고 보는 전망에 따라 안전 자산 선택 및 향후 금리인하시 채권가격 인상의 노림수 외인 코스닥 순매도 및 코스피 순매수 및 기관.. 2024. 2. 5.
24.02.02 장마감 시황 ▶ 금융 외환 시장 동향 (한국은행) 안녕하세요 K-IN 입니다. 한국은행에서 매일 오후 6시에 발간하는 일일 금융·외환시장 동향를 읽어드리는 시간입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시간을 아끼면서 투자의 기회를 잘 잡아가시길 바랍니다. 금융 시장 동향 헤드라인 ※ 붉은색은 시장 "긍정적", 파란색은 시장 "부정적"을 표기하였습니다. 검은색 볼드체는 전망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외국인 대량 순매수 등으로 주가 큰폭 상승 코스피 2615.3, +72.8p, +2.9% 코스닥 814.8, +16.0p, +2.0% 정부 증시 관련 정책 기대감 ▶ 저평가된 업종 주가 상승 기대감,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관련 기사 미 증시 상승(S&P500 +1.2%, 나스닥 +1.3%) ▶ 미 빅테크 기업 실적 기대감 (시장 예상치 상회) 국내 CPI 상승률 둔화세 지속 등으.. 2024. 2.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