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테크/주식

주식, RSI(Relative Strength Index, 상대강도지수)로 알아보는 과매도 과매수 구간

by K-인사이터 2024. 4. 24.
반응형

안녕하세요

K-인사이트입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기술적 보조지표를 통해서 시장의 여러가지 징후를 포착하고 주가가 바닥인지 천장인지 판단을 합니다. 모든 법칙이나 기술이 그러하듯 만능 도구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시장상황에 맞는 기술적 분석기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적 보조지표의 도움 없이 오로지 주가(Price)만을 바라보면서 투자를 한다면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있어 감각(sense)만을 이용해 투자를 하는 셈이므로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손실을 입기 마련입니다. 오늘은 RSI(Relative Strength Index, 상대강도지수) 보조지표를 이용해 투자의 세계에서 생존하는 방법을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의 사항 

  • 만능 분석 기법은 없습니다.
  • 박스권에서 추세에 순응하는 분석 기법을 적용하는 것은 모순입니다. 
  • 시장상황의 이해를 바탕으로 각종 기술적 분석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표 분석이란? 

  • 전반적인 시장상황을 분석하는 것을 말합니다.
  • 과열/침체, 시장상황이 정상/비정상 인지 파악하여 매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기술지표를 통해 추세 파악 및 전환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 보조지표를 통해 매수자, 매도자의 힘의 균형을 깊이있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상대강도지수(RSI)란?

상대강도지수(RSI, Relative Strength Index)란 오실레이터의 일종으로 현재 추세의 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어 언제 주가 추세가 전환될 것인가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주가가 상승 추세일 경우 얼마나 강한 상승세인지 그리고 하락 추세라면 얼마나 강한 하락세인지를 퍼센트로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다시말해 추세의 강도를 객관적 수치로 표현하는 분석 방법으로 웰러스 윌더(Welles Wilder)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RSI 기간 설정

윌더는 RSI를 사용할 때 14일 RSI를 사용하라고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9일, 25일 RSI도 사용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RSI 기간을 짧게 사용할 수록 민감하게 움직이고 기간이 길수록 둔하게 움직이므로 사용자 성향에 맞는 기간을 선택하면 됩니다.

 

RSI 계산 방법

 

 

위 수식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기간은 14일로 하겠습니다.

  • 지난 14일간의 종가 데이터를 불러옵니다. 이 중에서 전일의 종가보다 높은 것을 찾아 순증가분의 누적합계를 구합니다. 이를 14일로 나누어 종가 상승분의 평균을 구합니다.
  • 반대로 전일 종가보다 낮은 것을 찾아 순감소분의 누적합계를 구하여 14로 나누어 종가하락분의 평균을 구합니다.
  • 종가 상승분의 평균을 종가 하락분의 평균으로 나누어 RS를 구합니다. 이를 RSI 공식에 대입하여 구합니다.

RSI 변동폭은 0 ~ 100 입니다. 만약 하락이 계속되고 있다면 RSI 값은 0이고 상승만있고 하락이 없다면 100의 값을 가집니다. 아래의 그림을 보겠습니다.

 

 

 

 

RSI 해석 방법

RSI 보조지표의 해석 방법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RSI 값이 30 이하이면 매수시점으로 보고 70 이상이면 매도시점으로 해석합니다.
  • RSI 값이 30이하이거나 70이상일 때, 주가와 지표값의 디버전스(divergence)가 나타나면 반전신호로 인식합니다.
  • 14일 기준 RSI 값이 70을 상회하면 과열(Overbought), 30을 하회하면 침체(Oversold)로 판단합니다. 9일 기준 RSI 값일 경우 민감하게 움직이므로 각각을 75와 25에 두어 사용하기도 합니다.
  • 과열과 침체는 비정상적인 상태로 간주하므로 추세가 반전될 것이라고 해석합니다.
  • 50일 기준 RSI 값이 50의 상향 돌파와 하향 돌파를 매매시점으로 잡을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분할매매 때 상당히 유효합니다.

이미지 출처: 해시넷(http://wiki.hash.kr/)

 

 

RSI 투자 전략

차트 패턴 분석

패턴을 분석할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차트가 머리어깨형(head and shoulder, 헤드앤숄더형) 또는 삼각형(Triangle) 패턴을 보이는 애매한 상태일 때 RSI 값으로 분석하면 유용합니다.

헤드앤숄더 패턴, 이미지 출처: 알파스퀘어(https://alphasquare.oopy.io/)

 

삼각형 패턴, 이미지 출처: 해시넷(http://wiki.hash.kr/)

 

 

역추세 전환 실패(Failure Swing)

역추세 전환 실패(Failure Swing)은 보조지표가 직전 최고치나 최저치를 갱신하지 못하고 진행 방향을 바꾸어버리는 것을 말합니다. RSI 값이 이전의 고점을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하거나 이전 저점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상승하는 것을 말합니다. RSI 값이 30 이하에서 역추세 전환 실패가 나타나거나 70 이상에서 역추세 전환의 실패가 나타나면 주가 추세 전환이 임박했다는 신호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저항 및 지지

지지 구간이나 저항 구간에서는 가격(Price)보다는 RSI 추세가 확실한 신호를 일 수 있습니다.

 

 

디버전스(Divergence)

주가가 이전 고가나 저가를 갱신하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RSI 값이 고점 또는 저점을 갱신하지 못하고 반대의 추세를 보일 때 주가가 곧 추세 전환을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상입니다.

K-인사이트 올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