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근저당권3

경매 기초, 은행이 근저당권을 설정하는 이유, 근저당권과 저당권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K-IN 입니다. 자산 증식 및 내집 마련을 위한 훌륭한 도구인 경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미 경매에 뛰어들어 수익을 내시는 분도 있고 혹은 새롭게 경매에 뛰어들기를 바라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이분들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경매를 주제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오늘은 근저당권과 저당권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경매와 근저당권 그리고 저당권 내집 마련을 위해 보통 주택담보대출을 받습니다. 이때 은행이 아파트의 등기부등본에 근저당권이라는 것을 설정합니다. 즉, 은행의 권리를 등기부등본에 기록하는 것이고 나중에 해당 물건이 경매로 나올때 근저당권을 기반으로 배당을 받습니다. 그렇다면 근저당권, 저당권 비슷하지만 다른 두 단어들은 어떤 의미이고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두 용어.. 2024. 3. 3.
경매 기초, 등기부 권리분석, 말소기준권리란? (인포그래픽 제공) 안녕하세요 K-IN 입니다. 자산 증식 및 내집 마련을 위한 훌륭한 도구인 경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미 경매에 뛰어들어 수익을 내시는 분도 있고 혹은 새롭게 경매에 뛰어들기를 바라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이분들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경매를 주제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오늘은 등기부 권리분석 중 말소기준권리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말소기준권리란? 부동산 경매에서 부동산이 낙찰될 경우, 그 부동산에 존재하던 권리가 소멸하는지 그렇지 않다면, 그대로 남아 낙찰자에게 인수되는지를 가늠하는 기준이 되는 권리입니다. 즉, 권리의 소멸이나 인수사항을 판단하는 기준이라고 요약해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말소기준권리에 속하는 권리들 등기부에서 모든 권리들이 말소기준권리가 되지는 않습니다. 말소.. 2024. 3. 3.
경매 기초, 등기부등본 보는법, 표제부, 갑구, 을구, 말소기준권리 개념 잡기 안녕하세요 K-IN 입니다. 자산 증식 및 내집 마련을 위한 훌륭한 도구인 경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미 경매에 뛰어들어 수익을 내시는 분도 있고 혹은 새롭게 경매에 뛰어들기를 바라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이분들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경매를 주제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오늘은 등기부등본 보는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등기부등본이란? 등기부등본(등기사항전부증명서)는 현 건물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기록한 서류입니다. 권리변동 또는 권리관계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누구든지 열람 및 발급이 가능합니다. 토지의 경우 "토지등기부등본"이 있고 건물의 경우 "건물등기부등본"이 있으며 단독주택의 경우 "토지와 건물" 두 개의 등기부등본이 있습니다. 우리가 자주 접하는 아파트, 다세대(연립), 오피스텔.. 2024. 3.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