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테크

하이일드(High-Yield) 채권(Bond)과 스프레드(Spread)란?

by K-인사이터 2024. 1. 28.
반응형

안녕하세요 K-IN 입니다. 

 

하이일드 채권과 스프레드에 대해 알아보고 회사채 투자에 대한 결정을 내릴때 어떤 지표를 참고해야할지 알아보겠습니다.

하이일드 채권(High Yield)이란? 

일반적으로 하이일드 채권이라고 한다면 고위험•고수익을 떠올립니다. 

실제로 하이일드 채권은 일반적으로 "BB 이하의 등급을 받은 채권"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BB 이하등급은 국제신용평가사인 S&P 와 무디스가 결정합니다. 

 

우리는 "금리가 상승할 경우 채권 가격이 하락"하는 투자의 기본공식을 알고 있습니다. 

하이일드 채권도 채권이니 만큼 동일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금리가 올라가면 ▶ 채권의 가격은 낮아짐

금리가 내려가면 ▶ 채권의 가격은 올라감 

 

따라서, 요즘 금리가 더 높아지지 않을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에 채권을 매수하기 좋은 시기라고 다들이야기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즉, 앞으로 금리가 내리면 채권의 가격이 오를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입니다. 

 

다만, 하이일드 채권은 일단 채권과는 다른 특성이 있습니다. 

신용 등급이 낮은 채권들을 모아두었기 때문에 채권을 판매하려면 그만큼 수익을 보장해야합니다. 

따라서, "표면금리"는 "국채금리 + 가산금리(스프레드)"로 구성됩니다. 

 

이로 인해 표면금리가 높으므로 금리 상승 영향이 일정 부분 완충이됩니다. (이미 이자가 높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급격하게 금리가 상승한다면 회사채를 발행한 기업들의 부도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리스크가 커집니다. 

만약, 완만하게 금리가 상승한다면 주식 비슷한 좋은 수익률을 주기도 합니다. (평균 8 ~ 12% 정도)

 

하이일드 채권 투자시 주의사항 

앞서 하이일드 채권은 주식처럼 높은 수익률(평균적으로 8 ~ 12%)을 주기도한다고 하였습니다.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채 등에 대한 투자이기 때문에 부도율이 문제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1~2%정도라면 문제가 없겠지만 경기침체로인해 3~5% 이상 급상승할 경우 하이일드 채권에 투자한 펀드(Fund) 나 ETF의 경우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경기가 좋을 경우 우량 채권보다 월등히 높은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음을 말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분산 투자를 통해 리스크를 줄여야합니다. 이때, 고려해야될 요소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첫째. 소수의 회사가 아닌 전세계 여러 나라에서 회사채를 매수하여 리스크를 낮게 유지

둘째. 환헤지 여부를 결정

셋째. 경제위기가 발생하더라도 부도만 아니라면 원리금 상환이 가능

 

첫째. 소수의 회사가 아닌 전세계 여러 나라에서 회사채를 매수하여 리스크를 낮게 유지

분산 투자의 목적은 높은 리스크를 가진 하이일드 채권을 발행한 주체(회사)가 부도할 경우를 대비하는 것입니다. 

만약, 소수의 회사의 회사채를 매수한 경우 이들 회사가 채무불이행 및 부도가 난다면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대우채권, 동양채권 그리고 한진해운 사태가 이 케이스에 속합니다.

 

또한, 국제 정세에 따라 지정학적 리스크가 큰 상황이므로 국내 채권만 고집하기보다는 여러 나라의 회사채를 사는 방식을 선택하면 충분히 분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둘째. 환헤지 여부를 결정

해외 채권을 사게될 경우 환헤지 여부를 결정해야합니다. 즉, 환율에 노출되거나 환헤지를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서 어떤 화폐로 거래하느냐가 중요합니다. 

 

달러의 경우 환헤지 비용이 낮아 상대적으로 유리한 반면 달러가 아닌 채권은 환헤지가 아예 불가능하거나 헤지 비용이 높을 수 있습니다. 

 

오히려 환에 노출되는 전략을 취할 수 있습니다. 미국 상장 하이일드 채권 ETF 를 직접 투자하면 미국 달러 환율에 노출되고 환율이 높아진다면 이로인한 추가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습니다. 

셋째. 경제위기가 발생하더라도 부도만 아니라면 원리금 상환이 가능

하이일드 채권은 신용등급이 BB이하인 채권들을 말하며 정크본드라고도 부릅니다. 

그러나 이들도 채권이기 때문에 부도만 피한다면 기업경영상황에 관계없이 원리금(원금+이자)를 모두 상환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도율이 비정상적으로 높지 않은 이상 주식에 비해 회복 속도가 빠릅니다. 

 

유럽신용위기(2011년), 글로벌금융위기(2008년)에 하이일드 채권 펀드 가격은 급락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위기에 노출되어도 버틸 수 있을 만큼의 자금을 투자하는 방향이 적절합니다.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High Yield Bond Spread)란?  

하이일드 채권의 성격과 투자시 유의사항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러한 하이일드 채권을 경기전망의 지표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는 하이일드 회사채와 미국국채 간의 수익률 차이를 의미합니다.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 하이일드 채권금리 -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이 지표는 FRED 의 ICE BofA US High Yield Index Option-Adjusted Spread 지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fred.stlouisfed.org/series/BAMLH0A0HYM2

 

ICE BofA US High Yield Index Option-Adjusted Spread

Source: Ice Data Indices, LLC   Release: ICE BofA Indices   Units:  Percent, Not Seasonally Adjusted Frequency:  Daily, Close Notes: The ICE BofA Option-Adjusted Spreads (OASs) are the calculated spreads between a computed OAS index of all bonds in a

fred.stlouisfed.org

위 링크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음영 영역은 모두 경제위기시기를 가리킵니다. 

 

하이일드 스프레드 확대

스프레드가 확대되면 FRED의 그래프가 상승합니다. 즉, 하이일드 채권 금리가 상승하는 것을 말하며 재무 상태가 취약한 기업들이 회사채를 발행하기 어려운 조건을 의미합니다. 

 

만약, "하이일드 채권 금리 상승" 과 "국채금리가 하락" 이 동반된다면 스프레드가 확대될 것입니다. 

스프레드가 확대된다면 재무 상태가 취약한 기업들이 회사채를 발행하기 어려운 상태가됩니다. 

이는 곧바로 실물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게됩니다. 

 

역사적으로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의 확대는 경기침체의 강력한 징조였습니다. 

전세계 혹은 미국 경기의 위기론이 부각된다면 이 지표를 통해서 과거의 위기와 비교할 수 있습니다. 

 

하이일드 스프레드 활용 예시 - 미연준 긴축과 하이일드 스프레드

지난해(22년) 미연준의 금리 인상과 관련하여 수많은 예측이 오가고 연준의장의 발표에 모두가 촉각을 곤두세웠습니다. 

 

그동안 풀린 유동성으로 시장에는 많은 돈이 넘쳐흐르는 상황이었으나 인플레이션 위기감으로 긴축(=유동성축소)하는 정책을 유지해왔습니다. 

 

시장에 돈이 마르게되면 당연히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가 확대됩니다.

이는 더 많은 이자를 제공해야 채권 발행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재무상태가 좋지 않은 회사들은 회사채를 발행하기 어려운 상황을 말합니다. 

 

실제 예시를 들어볼까요? 

 

2018년도 10월 3일 - 미연준 파월 의장의 긴축의지 발표 (당시 스프레드 316bp)

2019년도 01월 3일 - 발표이후 544bp 까지 스프레드가 확대

2019년도 01월 4일 - 금리인상 중단을 언급 

 

즉, 스프레드 확대는 경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지표이며 경기침체의 징조이므로 FED 또한 모니터링을 하는 지표입니다. 

 

 

 

 

맺음말

지금까지 하이일드 채권과 하이일드채권 스프레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채권은 고수익, 고위험 자산이며 스프레드는 경기침체 등의 위기를 감지하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앞으로의 투자 여정에 이 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K-IN올림. 

 

참고

반응형